지난 2007년 세계자연유산에 등록된 거문오름이 구글 지도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구글은 전세계의 자연, 문화유산을 디지털로 담아 다음세대를 위해 보존하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요, 이른바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입니다. 다른 자연유산의 구글 지도를 보시려면

아레 웹사이트로 가면 됩니다.



[구글 컬러럴 인스티튜트 :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home?hl=ko ]



지난 10월 29일 구글의 스트리트뷰 팀이 제주도의 거문오름에서 촬영했는데요. 다들 아시는 카메라 달린 자동차로 촬영하고 차가 갈 수 없는 곳은 사람이 직접 두발로 걸으면서 촬영합니다.



무게 18kg에 사각지대 없이 설계된 총 15개의 카메라가 2.5초당 한장씩 촬영하고 카메라 화소는 500만화소이며 촬영데이터는 2TB의 SSD에 저장됩니다. 장비조작은 안드로이드 폰으로 한답니다.





[축구공 모양의 카메라.총15개의 카메라가 달려 있습니다.]



제주도의 거문오름은 화산활동으로 생긴 오름으로 보통 나무와 숲이 없어 탁 트인 경관을 자랑하고 거문오름에만 유독 울창한 숲이 이씁니다. 오름을 오르는 동안 햇빛을 막아 어두컴컴한 숲길을 지나게 되는데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거문오름이 처음으로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 프로젝트에 담겼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모니터로도 거문오름을 산책하는 기분을 느낄수 있습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우리자산을 구글이라는 외국회사가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고 있다는 점인데요, 우리자산은 우리가 먼저 챙겨 후세에 전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물론 디지털로도 보관해야 겠지만, 자연 그대로를 잘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지금은 언론에서 언급을 안하시만 제주 강정마을은 해군기지로 인해 자연이 많이 훼손되고 있습니다. 해군기지의 필요성에 대한 타당성과는 별도로 향후 세대를 위한 선택이였나를 좀더 생각해봐야 겠습니다.



[제주 강정마을 구럼비의 전경(정우철 영화감독 촬영)]


[제주 해군기지]



반응형

Why South Koreans are fleeing the country's biggest social network

왜 한국인들은 한국에서 가장 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탈출하고 있을까?


2014년 10월 10일 BBC NEWS 블로그 트렌드 섹션에 올라온 뉴스입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이제 해외에서도 주목하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국위선양의 방법은 다양합니다.


기사에서는 카카오톡에서 텔레그램으로 사이버 망명을 시도하게된 발단이 세월호 사고로 인한 정부의 대처에서 출발해서, 7시간의 미스테리에 대한 일본신문보도, 그리고 대통령의 국가 모독 발언등 비교적 상세하게 보도하고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일일이 번역하진 않겠습니다.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has pledged to prosecute people spreading rumours about her on the Kakao Talk chat app. Now users are fleeing the social network, and seeking refuge in a German alternative.

The story begins at sea. Back in April, 304 people died when the South Korean Sewol ferry capsized just off the country's southern coast - one of the worst maritime disasters in the country's history.

The govern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has been widely criticised for its handling of the incident. Protests have broken out in the capital city, and some of the victims' families claim the authorities botched the search and rescue. A recent painting by a prominent artist depicted the president as simply continuing in the footsteps of her father, who had led the country under military rule. And a Japanese newspaper reported that Geun-hye - who is not married - was not in her office on the day of the sinking, but instead meeting with a recently divorced former aide. Seoul has strongly denied the report, calling it "baseless" and "malicious".

Insults and rumours continued to spread, however, and in late September the president announced she was cracking down on the citizens responsible for circulating them. Kakao Talk - a smartphone messaging app used by 35 million of the country's 50 million people - has been one of the her primary targets. The firm is headquartered in South Korea, and some Kakao Talk users have reportedly received notices that their accounts have been searched by investigators.



The government's handing of the ferry led to protests in Seoul in May

Now, some 400,000 users have deserted the service, according to Rankey.com, a site which tracks app usage. HwanBong Jung, a journalist in the country, tells BBC Trending that "people feel uncomfortable." The firm has said it cannot deny the government's requests for information, he explains.

The exodus has proved a boon for another chat app - Telegram Messenger - an encrypted messaging service based in Germany, with no servers in South Korea. The company behind the app, founded by thesame people that created Vkontakte, Russia's largest social network, says 1.5 million new South Korean users have signed up for the service in the last seven days.

Unlike Kakao Talk, Telegram Messenger offers a "secret chat" option, using end-to-end encryption. The technology means the company is unable to decrypt any of the messages itself, so couldn't hand over information about its users, even if requested.

One South Korean newspaper reports that Kakao defectors have developed a wry greeting when finding each other on Telegram, saying simply: "Welcome to exile."


[출처] http://www.bbc.com/news/blogs-trending-29555331


반응형

아래표는 한달전부터 회자되고 있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telegram의 랭킹 자료입니다.

랭크정보는 Appannie에서 조회해 보았습니다.



< 9월초 300위 이하의 순위에서 9월 20일 이후로 수직상승후, 상위랭킹을 유지하고 있는 telegram>


대략 지난 9월19일 검찰의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상시 모니터링’을 추진하면서 모바일메신저 검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부터 순위의 변동이 생깁니다. 그후는 일부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사이버 망명 행렬이 이어지고 있고, 이러한 흐름은 다음카카오의 안이한 대응도 한 몫 했습니다.  지난 1일 '카카오톡 압수수색' 규탄 기자회견 바로 이어 열린 다음카카오 출범 기자회견 자리에서 이석우 공동대표는 "정당한 법 집행에 협조할 수밖에 없다"는 말을 세 차례나 반복했고, 결국에는 감청영창에 불응하겠다고 선언하기에 이릅니다.


이에 검찰은 문을 안열어주면 직접 뜯고 들어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하면서 직접 감청의 의지를 피력하며 더더욱 사이버 망명을 재촉하고 있습니다.


 텔레그램의 인기비결


1. 독일에 서버가 있어 외부의 접근이나 간섭이 불가

2. 대화내용에 대한 암호화가 철저

3. 억만장자 개발자가 선언한 광고없는 평생무료 메신저 



각종 언론매체에서 너도나도 텔레그램얘기를 하는 통에 제 스마트폰에도 몇 없던 가입자들이 꽤 많이 들었습니다. 물론 텔레그램 또한 보안이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크래캥 대회에서 러시아 아마추어 개발자에게 뚫리기도 했고, 보안에 취약점이 많다는 것이 파면 팔수록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보안이 뛰어난 메신저의 순위를 메기자면 


블랙베리 메신저 > imessage > telegram > 카카오톡 순 정도가 되겠습니다.


애플 제품만 쓴다면 iMessage를 추천한다. iMessage는 가장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나 PC에서도 써야 한다면 완벽한 대안은 없다. 구글 행아웃이나 최근에 페이스북에 인수된 와츠앱이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이곳도 영장 받으면 정보공개에는 거부하겠지만 어쨌든 정보를 공개할 것이다.


참고로, imessage의 경우 해킹이 어려워 미국정보의 마약조사팀이 메시지 해킹에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참고기사]http://www.tuaw.com/2013/04/04/apples-imessage-encryption-thwarts-government-investigations/


예전에, 국내 이메일업체들이 수사협조 요청 한방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간단하게 검찰에 제공하는 모습 등으로 신뢰를 잃고 상당수가 Gmail로 갈아탄 예가 있었습니다. 저는 네이트해킹을 계기로 국내 계정을 모두 없애고 gmail로 갈아탔습니다. 요즘같은 사이버 국경이 없는 상황에서 국내 업체들 서비스보다 해외 서비스들로 등떠밀려 가는 상황이 달갑지는 않습니다만, 위정자들은 아직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 못하는 듯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